[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엔비디아 오늘도 대폭락. 계속되는 딥시크 폭락장과 FOMC“
1. FMC 성명서와 시장 반응
- FMC에서는 금리를 동결했지만, 시장의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음.
- 부정적 시장 신호: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진전' 언급 삭제. 노동 시장 견고성 언급으로 "매파적 해석" 가능.
- 즉각적 주가 하락: 성명서 발표 직후 나스닥 하락.
2. 파월 의장 발언과 나스닥 회복
- 파월 의장은 주요 질문에 대해 비둘기적 발언을 통해 시장 안정 시도.
- 예: "인플레이션 전망 변화는 없었다."
- "금리 인하를 반드시 2% 인플레이션 목표 도달 후 진행할 필요는 없다."라는 발언은 시장에 긍정적 신호.
- "대차대조표의 즉각적 변화는 없다"라는 내용 역시 시장의 불안을 잠재움.
- 나스닥은 파월 회견 이후 일부 회복.
3. 엔비디아 주가 급락의 요인
- 주요 원인: 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가능성
- 미국, 중국의 고성능 반도체 수출 제한 지속에 대한 시장의 우려 심화.
- 엔비디아는 싱가포르를 통해 중국 기업에 반도체 공급 추정 -> 매출 구조에 큰 영향 우려.
- 딥시크(DiSiq)의 등장으로 AI 반도체 기술 도용 가능성 논란.
- 추가적 시장 부담:
- 관련된 딥시크 훈련 비용 및 효율성 논란.
- 엔비디아 GPU의 필요성 문제제기 및 시장 신뢰도 하락.
4. AI 및 반도체 시장의 핫 이슈
- 딥시크 트레이닝 비용 논란과 시장 확대
- 주요 투자 비용이 트레이닝보다는 관련 인프라에 집중.
- AI 비용 절감은 시장 확장의 기회로 해석.
- ASML과 어드반 테스트 실적 상승
- 반도체 장비 및 테스트 수요 강세 반영으로 주가 상승.
- 그러나 중국 수출 규제 가능성 악재로 작용.
5. 기타 논의된 사항
- 인플레이션 관리 및 금리 인하 시점
- 12개월 인플레이션 데이터 중요성 언급.
- 중립 금리보다 제한적인 수준 강조 -> 금리 인하 여지 열어둠.
- 암호화폐 관련 발언
- 은행 리스크 관리 유지하에 암호화폐 서비스 지속 가능성 언급.
6. 오늘 주요 이벤트
-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예정: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테슬라.
- AI 비용(딥시크 관련 포함)에 대한 경영진의 코멘트가 시장 변동성에 영향 예상.
< Summary >
FMC 성명서 발표 직후 매파적으로 해석되며 나스닥이 하락했으나, 파월 의장의 비둘기적 발언들로 다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는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규제 이슈와 AI 반도체 도용 논란으로 5% 이상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AI와 반도체 시장에서는 딥시크 트레이닝 비용 논란, ASML 등 장비 수요와 매출 증가 등이 여전히 주요 이슈입니다.
[More…]
- 엔비디아 딥시크 논란에 따른 주가 변동
- FMC 성명서와 시장 변동
*유튜브 출처: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 엔비디아 오늘도 대폭락. 계속되는 딥시크 폭락장과 FOMC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