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딥시크 사태로 엔비디아 하락은 이제 시작이다? 블랙스완 나심탈렙“
최근 나스닥 시장 주요 동향
- 나스닥이 1.8% 상승했으며, 큰 폭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어제 큰 폭으로 하락했던 엔비디아가 6.8% 상승하며 회복하는 중. 그러나 변동성이 큰 만큼 방향성은 아직 불확실.
빅테크 주가 회복
- 주요 빅테크 주식들이 전날 하락세에서 어느 정도 회복.
- 애플이 특별한 이슈는 없었으나 4% 가까이 상승하며 이틀 연속 상승세를 기록. 이는 시장의 딥시크 논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표본으로 평가.
딥시크와 관련된 주요 이슈
딥시크의 효율성과 시장 반응
- 중국 기반 딥시크 AI 모델의 효율성이 크게 개선됨.
- 결과적으로 AI 시장의 효율화가 이루어지면서 GPU 및 관련 인프라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
- 모건 스탠리 등 일부 기관은 딥시크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 예상.
AI 효율화의 긍정적 효과
- 알리바바가 발표한 새로운 AI 언어 모델이 딥시크보다 높은 벤치마크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긍정적 신호.
- AI의 효율화는 스마트폰, 가정용 컴퓨터 교체 주기를 앞당기며 관련 인프라 수요를 오히려 자극할 수 있음.
- 빅테크들은 여전히 기존 GPU 구매 계획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보임.
ETF 자금 유입 및 시장 반응
주요 ETF 투자 동향
- S&P 500을 추종하는 ETF(SPY)에 6.1억 달러가 유입. 이는 2021년 이후 최대 수준.
-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에도 1.3억 달러가 유입되며 하락 구간에서 자산을 매입하는 투자자들이 증가.
상승 종목이 우위를 점한 이례적인 날
- 최근 하락장에서 상승 종목이 더 많았던 이례적인 현상은 대형 기술주 중심의 조정 가능성을 시사.
공포 지수와 시장 심리
- VIX(공포 지수)는 큰 폭의 변화 없이 안정적. 시장 전반에 위험이 확대되지 않았음을 반영.
TSMC 및 중화권 테크 기업의 성장
- TSMC와 같은 주요 반도체 기업에 대한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전환.
- 바이트댄스가 12억 달러 투자를 발표하며 AI와 관련된 투자 지속성을 과시.
시장 전문가의 분석
- 긍정적 관점: AI 효율화는 단기적 우려와 달리 새로운 수요를 촉진하며 장기적으로 자재 및 반도체 칩의 필수성을 확대할 전망.
- 부정적 관점: 일부 전문가들은 AI 투자 버블과 GPU 디플레이션을 경고하며, 엔비디아와 같은 기업들이 과도한 실적 기대치를 조정해야 할 가능성 언급.
주요 CEO 발언
- 샘 알트만: 딥시크는 훌륭한 모델이지만, 전방산업 수요를 급감시킬 변수는 아님.
- 사티야 나델라: AI 효율이 높아지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 더 많은 AI 솔루션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
- 일론 머스크: AI 개발 및 장비 구매 계획에 큰 변동사항 없을 것으로 예상.
엔비디아와 AI 시장 전망
투자 심리와 결론
- 엔비디아의 주가는 단기적으로 하락했으나, 여전히 AI 전방 수요와 케펙스(CapEx) 증가 여부에 따라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존재.
- 빅테크들의 군비경쟁은 AI 반도체 시장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평가.
단기적 투자 전략
- 시장 심리가 악화된 상황에서 단기 조정을 감안하되, AI 효율성 증대가 가져올 장기적 수요 증가 기회에 주목할 필요.
< Summary >
- 나스닥과 주요 빅테크 종목들이 최근 하락세에서 반등.
- 딥시크와 같은 AI 효율화가 GPU 및 AI 인프라에 대한 수요 감소 우려를 야기했으나,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AI 솔루션 채택을 촉진할 가능성.
- 빅테크 CEO들은 AI 관련 케펙스 투자에 변동이 없을 것임을 시사.
- ETF 자금 유입 증가와 공포 지수 안정은 시장이 갑작스러운 위기감에 휩싸이지 않았음을 보여줌.
- 장기적으로 AI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유효.
[More…]
- 나스닥 상승과 AI 효율성의 변화
- 엔비디아와 딥시크: 시장의 미래
*유튜브 출처: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