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하는인갠]
“미국주식 충격! 또 내려가는 이유는? 이거 모르면 박살납니다.“
1. 애플의 주가 하락
-
주요 원인: 애플이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판매 부진을 보이며 시장 점유율이 하락.
- 지난해 출하량 17% 감소, 주가 4% 이상 하락.
- 애플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15%로 하락한 가운데 매출 감소가 지속적.
- 특히 2022년 말부터 중국 공장에서의 생산 차질로 추가적인 타격.
- 주요 경쟁사들인 화웨이와 샤오미가 시장을 지배하면서 애플의 점유율 감소가 가속화되었음.
-
장기적 분석: 애플은 과거에도 중국발 악재를 이겨내며 성장해 왔음.
- 주가가 단기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장기적 구매 기회가 될 가능성 있음.
2. TSMC(대만 반도체)의 호실적
-
주요 내용:
- 4분기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전년 동기 매출 대비 38% 증가, 이익 57% 증가).
- GPU 수요 증가와 AI 반도체 시장의 호조가 주요 성과 요인.
- 올해 1분기 매출 가이던스도 시장 기대를 초과하는 수치를 예고.
-
투자 관점:
- TSMC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 구조를 유지, AI 반도체 분야의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추가적인 성장 가능성 존재.
3. 엔비디아와 반도체 수요
-
주요 동향:
- 반도체 수출 규제와 TSMC 실적 발표 이후 주가 1% 하락.
- AI에 대한 관심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주문 조정 소문이 악재로 작용.
-
미래 전망:
- AI와 GPU 수요의 지속 상승 가능성이 높아 장기적으로 투자 매력이 있음.
4. 나스닥과 시장 분위기
-
주요 이슈:
- 인플레이션의 안정적인 완화와 CPI/PPI 수치 개선으로 저점에서 반등 가능성.
- 최근 은행권 호실적과 함께 투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음.
-
전망:
- 금리 안정화와 실적 시즌 호조로 나스닥 지수의 상승 가능성 전망.
5. 테슬라와 사이버 트럭
-
주가 하락 이유:
- 전기 픽업 트럭 "사이버 트럭"에 대한 할인 정책 발표로 3% 이상 하락.
- 반복적인 리콜과 높은 가격으로 판매량 증가가 제한적.
-
분석:
- 4분기 실적이 예상 상회를 기록할 가능성.
- 장기적인 실적 성장 및 전기차 시장 내 리더십 유지 기대.
6. 양자 컴퓨팅 테마주
-
주요 내용:
- 아이온큐와 리게티 컴퓨팅 등이 급등세 기록.
- 관련 기업들이 기술 상용화 소식과 목표 주가 상향으로 높아진 관심을 받음.
-
투자 유의점:
- 변동성이 큰 시장 특성상 투자 전 신중한 검토 필요. 단기적인 상승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
7. 비트코인과 가상화폐
-
주요 동향:
-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를 목표로 이동.
- 반감기 초기 단계로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
-
장기적 관점:
- 단기 조정이 불가피하나 상승세 유지는 가능. 안정적인 자산 증대를 기대할 만함.
8. 기타 시장 움직임
- 디지털 오션: 모건 스탠리의 긍정적 평가로 인해 주가 3% 상승.
- 넷플릭스: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주가 0.7% 하락.
- 태양광 및 소프트웨어 관련 주식: 퍼스트솔라, 디지털 관련 주가 상승세 지속.
- 항공 및 헬스케어 업종: 사우스웨스트 항공 및 유나이티드 헬스는 실적 하락 및 평가 하향으로 약세.
< Summary in English >
1. Apple Stock Drop:
Apple faced challenges in the Chinese smartphone market, with reduced market share and a 17% drop in shipments. This led to a 4% stock decline, but historically, Apple has rebounded from such challenges, presenting potential buying opportunities.
2. TSMC Strong Performance:
TSMC reported record-breaking Q4 revenues with robust AI-related chip demand, making it a strong candidate for long-term investment.
3. Nvidia and Semiconductor Demand:
Despite recent volatility, Nvidia remains promising due to increasing AI demand, although short-term regulatory concerns may persist.
4. Nasdaq Recovery:
Improved inflation data and strong Q4 earnings from banks have triggered optimism for a market rebound.
5. Tesla's Cybertruck Challenges:
Tesla’s discount initiatives caused a stock dip, but positive Q4 forecasts and strong EV market dominance suggest a resilient future.
6. Quantum Computing Stocks:
Stocks like IonQ and Rigetti attracted attention with technology advancements but require cautious investment due to volatility.
7. Bitcoin and Cryptocurrency:
Bitcoin targets $100k, riding on its halving cycle. Long-term growth potential remains strong, despite expected short-term corrections.
8. Other Market Insights:
Positive performance in software (DigitalOcean) and solar energy (FirstSolar) sectors, while airlines and healthcare stocks showed mixed results.
- Crafted by Billy Yang
- [관련글 at next-korea.com/]
TSMC 실적에 대한 분석과 전망
애플의 중국 시장 진출 전략*유튜브 출처: [미국주식하는인갠]
- 미국주식 충격! 또 내려가는 이유는? 이거 모르면 박살납니다.
[오늘의 테슬라 뉴스]
“미쳤다! 로켓잡기 또 성공! 스타쉽 7차 비행 영상공개! 블루 오리진 뉴글렌 궤도 진입 성공 우주 경쟁시대 시작하나?“
1. 스페이스엑스의 팔콘 9, 재사용 로켓의 선도
- 스페이스엑스의 팔콘 9 로켓은 우주 산업에서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술을 통해 발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이에 따라 많은 우주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습니다.
2. 제프 베조스의 블루 오리진: 뉴 글렌 발사
- 블루 오리진의 뉴 글렌은 스페이스엑스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새로운 우주 발사체입니다.
- 뉴 글렌은 팔콘 9보다 30m 더 길며 약 두 배 더 많은 화물을 실을 수 있어 기술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2023년 3월 16일, 뉴 글렌은 성공적으로 궤도 진입을 마쳤지만 로켓 착륙에는 실패하며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3. 기술적 경쟁: 우주 연구의 가능성을 넓히다
- 뉴 글렌의 착륙 실패에도 불구하고 블루 오리진은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 기술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핵심은 우주 화물 운송에서 민간 기업 간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며, 이는 시장의 다각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 미국 정부의 아르테미스 계획(2024년 달 유인 탐사)과 같은 프로젝트에도 민간기업의 참여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일론 머스크와 제프 베조스 간의 우호적인 경쟁
- 블루 오리진의 뉴 글렌 발사 성공에 대해 일론 머스크는 격려를 보냈고, 베조스도 스페이스엑스 팀에게 행운을 빌었습니다.
- 그러나 이 친근한 격려 이면에는 스타링크와 블루 오리진의 위성 인터넷 사업에서의 경쟁이 존재합니다.
- 블루 오리진: 프로젝트 카이퍼(저궤도 위성 인터넷 제공 목적) 진행 중.
- 스페이스엑스: 스타링크로 이미 우주 기반 인터넷 서비스 선도.
5. 스페이스엑스의 스타십, 기술 향상과 새로운 도전
- 스페이스엑스의 스타십은 스타링크 위성을 포함한 여러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 테스트 비행에서 일부 실패가 있었으나, 추후 발전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입니다.
- 특히 지구-대기권 재진입 시 열 차폐 및 추진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주요 성과로 평가됩니다.
6. 스타링크 인터넷의 국내 도입 가능성
- 스타링크의 한국 내 상용화는 2023년 2분기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 및 산간지역에서의 인터넷 활용이 기대됩니다.
- 그러나 높은 초기 장비 비용(약 20만 원)과 월 사용료(약 14만 원)로 인해 일반 사용자보다 특정 환경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Summary in English >
SpaceX vs Blue Origin: The Future of Space Exploration
-
SpaceX Leading with Reusable Falcons:
- Falcon 9's reusable technology significantly reduces launch costs and corners much of the space projects.
-
Blue Origin Steps Up with New Glenn:
- Blue Origin’s New Glenn, with its larger payload capacity, challenges SpaceX.
- It successfully reached orbit but failed its first drone ship landing.
-
U.S. Artemis Project & Market Collaboration:
- The Artemis program demonstrates increased reliance on private companies. This expands the market for space transport.
-
Friendly Competition, Yet Parallel Battles:
- Elon Musk and Jeff Bezos acknowledge each other's achievements.
- Blue Origin’s Project Kuiper and SpaceX’s Starlink vie for dominance in satellite internet.
-
Starship's Upgrades and Challenges:
- SpaceX made several improvements, including enhancing heat shielding and onboard communication tech (Starlink).
-
Starlink to Launch in South Korea:
- High pricing limits general adoption, but rural and aviation users stand to benefit.
- Crafted by Billy Yang
- [관련글 at next-korea.com/]
-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의 기술 비교
- 스타링크 한국 출시, 어떤 변화 가져올까?
*유튜브 출처: [오늘의 테슬라 뉴스]
- 미쳤다! 로켓잡기 또 성공! 스타쉽 7차 비행 영상공개! 블루 오리진 뉴글렌 궤도 진입 성공 우주 경쟁시대 시작하나?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