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유동성 폭발 핵잠수함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트럼프의 경제 전략, 금리·환율·트럼프 전략으로 본 2026 경제 시나리오 [클로즈업 – 교보문고 강연 1편]

*출처: [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

–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트럼프의 경제 전략, 금리·환율·트럼프 전략으로 본 2026 경제 시나리오 [클로즈업 – 교보문고 강연 1편]

2026 시나리오: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디베이스먼트, 금리·환율·유동성으로 본 글로벌 경제전망

트럼프 2기 시나리오에서 왜 “돈의 가치 하락” 전략이 핵심인지, 금리 인하와 달러 약세가 어떻게 맞물리는지, 그리고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보이지 않는 유동성 파이프’가 되는지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유동성 장세가 언제, 무엇 때문에 꺼질 수 있는지와 2025~2026 분기별 로드맵, 한국 투자자 포트폴리오 체크리스트, AI 인프라 투자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다른 유튜브나 뉴스에서 잘 안 짚는 재무부 발행전략, RRP·TGA 운용, 은행 규제완화 같은 ‘정책 뒤의 메커니즘’도 따로 뽑아드립니다.

핵심 뉴스 요약: 2025~2026 “피벗의 시대”, 디베이스먼트가 만든 유동성 장세

2020~2021년은 완화의 시대였고, 2022~2023년은 긴축의 시대였으며, 2025~2026년은 점진적 금리 인하가 이어지는 피벗의 시기로 진입합니다.
트럼프 2기 가정하에서 핵심 전략은 디베이스먼트, 즉 돈의 가치 하락을 유도해 자산가격을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구현 수단은 금리 인하, 유동성 공급, 달러 약세 유도, 재정·준재정(스테이블코인 포함) 채널의 병행으로 요약됩니다.
미국은 2025년 하반기 이후 선진국 중 가장 공격적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달러 약세와 글로벌 리스크자산 랠리의 촉매가 됩니다.
연준 의장 임기는 2026년 5월 만료로, 인사 변화와 정책 톤 전환이 2026년의 변수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시대를 구분하라”로, 유동성 사이클에서 자산 비중 확대, 긴축 사이클에서 현금·단기채 비중 확대라는 플레이북을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입니다.

디베이스먼트(돈의 가치 하락) 메커니즘: 금리·환율·스테이블코인

금리 인하가 진행되면 할인율 하락으로 주식과 부동산의 현재가치가 상승하고, 위험선호가 개선됩니다.
달러 약세는 글로벌 달러 부채의 실질부담을 낮추며, 이머징 포함 전세계 자금흐름에 레버리지 효과를 줍니다.
스테이블코인(달러 연동 토큰)의 순발행 증가는 역외 달러 유동성을 키워 거래·투자 수요를 떠받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결국 더 많은 달러가 같은 자산을 쫓으며 가격이 올라가고, 인플레이션 중 특히 자산 인플레이션이 먼저 나타납니다.
이 흐름은 글로벌 경제전망에서 리스크자산 과열과 정책당국의 균형잡기 게임을 동시에 부릅니다.

금리와 환율 로드맵: 2025~2026 베이스·업사이드·리스크 시나리오

베이스 시나리오: 미국이 2025년 하반기부터 연속적 금리 인하에 나서며, 2026년 중반까지 점진적 완화를 유지합니다.
달러 인덱스는 상단이 낮아지고 변동성은 잦아들며, 구조적 달러 약세로 위험자산 강세가 이어집니다.
업사이드 시나리오: 에너지 안정과 생산성 개선이 맞물리면 인플레이션 둔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금리 인하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스몰캡, 경기민감, 이머징, 한국처럼 수출 레버리지가 큰 시장이 상대적 수혜를 봅니다.
리스크 시나리오: 지정학적 쇼크나 관세 인상으로 수입물가가 뛰고, 재정불확실성으로 장기금리의 기간프리미엄이 재차 급등하면 강(强)달러 리스크가 재부상합니다.
이때는 금리 인하가 늦어지고, 유동성 랠리가 중단되거나 섹터 내 회전만 남을 수 있습니다.

유동성 장세의 종료 신호: 무엇을 볼 것인가

헤드라인보다 근원·서비스 인플레이션의 재가속 여부를 우선 체크하세요.
미 재무부의 단기물 편중 발행이 장단기 금리와 은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세요.
ON RRP 잔고 소진 이후에도 시스템 유동성이 유지되는지, TGA 잔고 급증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지 않는지 모니터링하세요.
SLR 등 은행 규제완화, 재무부 바이백 재개는 ‘스텔스 QE’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축소 시 되레 충격이 커집니다.
유가·정제마진 급등, 해운 운임 점프, 식품 가격 쇼크는 인플레이션 재점화의 선행 신호입니다.
달러 인덱스가 추세적으로 상향 이탈하면, 포지션을 가볍게 하고 변동성 헤지 비중을 높일 타이밍입니다.

한국 투자자 포트폴리오 플레이북: 2025~2026

주식: 금리 인하·달러 약세 국면은 스몰·미드캡, 경기민감(산업재·운송·소재), 인프라·전력설비, 반도체 장비·파워반도체에 우호적입니다.
빅테크는 AI 수익성 검증과 전력·데이터센터 CAPEX 가이던스가 핵심이며, 밸류에이션 재레이팅은 실적 추정 상향이 전제입니다.
채권: 듀레이션은 5~7년 중심의 바벨 전략이 유효하고, 신용스프레드는 초우량·우량 중심으로 가져가며, 변동성 구간엔 단기물·MMF로 후퇴합니다.
원자재: 금은 유동성 확대와 실질금리 하락에 우호적이고, 구리·알루미늄 등 전력망·재생에너지 수요 연계 금속이 구조적 수혜입니다.
부동산: 한국은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거래 회복→가격 탄력 순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 LTV·DSR 여력과 고정·변동금리 믹스를 점검하세요.
환헤지: 달러 약세 베이스라도 이벤트 리스크에 대비해 부분 헤지(옵션·NDF)를 병행하는 것이 방어적입니다.

AI 트렌드 포커스: 유동성과 AI 인프라 투자 사이클

컴퓨트 파워가 자본이 되는 시대라서, 유동성 확대는 곧 데이터센터·전력·네트워크 투자 확장으로 연결됩니다.
전력 인프라: 변전·송전(HVDC), 배전 자동화, 에너지 저장(배터리·Pumped Hydro), 가스터빈·원전 리라이프가 동시다발로 증설됩니다.
반도체: HBM, COWOS/FO-PLP 패키징, 파워반도체, 고대역 메모리 테스트 장비가 수혜 축입니다.
엣지 AI: PC·폰 온디바이스 AI 전환은 AP·NPU·전력관리칩(PMIC) 수요를 폭발시킵니다.
파이낸스 x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과 실물자산토큰(RWA, T-Bill 토큰) 성장은 글로벌 결제·단기자금시장의 새로운 유동성 통로가 됩니다.
리스크: AI 수요 추정치가 과도할 경우 장비·부품 사이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전력 증설 계획과 공급망 증설 속도를 함께 추적하세요.

다른 데서 안 다루는 핵심: 정책 뒤의 유동성 파이프

스테이블코인 순발행은 역외 달러를 키우는 ‘보이지 않는 완화’로, 금융조건을 느슨하게 만듭니다.
미 재무부의 발행만기 구성 변화는 장단기 금리와 레포시장 유동성을 좌우하며, 은행 SLR 완화·재무부 바이백은 채권수급을 정교하게 조절합니다.
TGA 잔고를 통해 유동성을 흡수·방출하는 ‘재무부-연준 춤’이 이어지면, 표면상의 금리 인하보다 체감 유동성 효과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관세 인상은 물가를 자극하지만, 동시에 재정·보조금·에너지 증산으로 CPI 헤드라인을 눌러 금리 인하 공간을 여는 ‘정책 조합’이 시도될 수 있습니다.

2025~2026 타임라인 가이드

2025상반기: 인플레이션 둔화 확인, 금리 인하 기대 선반영, 스타일 로테이션 시작.
2025하반기: 미국 주도 금리 인하 본격화, 달러 약세 가속, 이머징·한국 베타 확대.
2026상반기: 연준 의장 임기 만료 이슈 부각, 정책 톤 미세조정, 유동성 유지 속 섹터 내 옥석 가리기.
2026하반기: 중간선거 모멘텀 고려한 완화 유지 시나리오가 베이스이되, 인플레이션·재정 리스크 재부상 모니터 필수.

리스크 관리 체크리스트

서비스 인플레이션 3개월 평균이 재가속하는지.
유가 90달러 상회 지속과 해운운임 급등 여부.
장기금리의 기간프리미엄 급등과 회사채 스프레드 동반 확대.
달러 인덱스 추세 상향과 원화 약세 가속.
RRP 고갈 이후도 금융여건이 느슨한지, TGA 급증으로 시중 유동성 흡수되는지.
이 신호가 2~3개 동시 점등되면, 레버리지 축소·헤지 강화·현금비중 상향이 합리적입니다.

결론: 시대를 구분하면 흔들림이 줄어든다

완화의 시대엔 자산 비중을, 긴축의 시대엔 현금·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는 단순한 원칙이 성과를 좌우합니다.
2025~2026은 피벗의 시대로, 유동성·금리 인하·달러 약세가 맞물리는 자산 우호 국면이 베이스입니다.
다만 유동성 장세는 언제나 끝날 수 있고, 끝나는 방식은 인플레이션·재정·달러의 역습입니다.
신호를 보며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2026 투자 생존의 핵심입니다.

< Summary >

트럼프 2기 가정 시나리오의 본질은 디베이스먼트, 즉 돈의 가치 하락을 통한 자산부양입니다.
금리 인하·유동성 확대·달러 약세·스테이블코인 순발행이 핵심 도구입니다.
유동성 장세의 종료 신호는 서비스 인플레 재가속, 기간프리미엄 점프, 강달러 복귀입니다.
포트폴리오는 스몰·미드캡, 인프라·전력, 반도체 장비, 금·구리, 중듀레이션 채권에 우선순위를 두고, 이벤트 리스크엔 헤지를 병행합니다.
AI 트렌드는 전력망·데이터센터·HBM·파워반도체·엣지 AI가 중심 축이며, 자본지출의 질과 전력 증설 속도가 성패를 가릅니다.

[관련글…]
달러 약세 시대, 한국 자산에 미칠 영향 5가지
유동성 파도 타기: 2026 투자 체크리스트와 리스크 신호



[달란트투자]
마침내 드러난 미국의 큰 그림 핵잠수함보다 더 엄청난 게 온다 | 문근식 교수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

– 마침내 드러난 미국의 큰 그림 핵잠수함보다 더 엄청난 게 온다 | 문근식 교수 풀버전

미국의 ‘한국 핵잠수함’ 카드, 실제 가능성과 경제·AI 파급효과 총정리

오늘 글에는 트럼프 발언의 사실관계, 한국형 핵잠수함 기술의 현재 위치, 미국 승인 가능 조건, AUKUS 선례 대비, 한국 국방산업·원자력·조선업의 파급효과, 글로벌 경제전망과 지정학 리스크, 그리고 해저전에서의 최신 AI 트렌드까지 모두 담았다.
특히 다른 매체가 잘 다루지 않는 핵연료 사이클·인력·항만 인증 같은 ‘보이지 않는 병목’과 AI-수중전 네트워크의 판짜기를 따로 정리했다.
정치적 구호가 아니라 산업·자본·기술의 숫자로 따져본다.

뉴스 브리핑: 영상 주장 요지와 현재 확인 가능한 사실

  • 00:38 트럼프의 깜짝 발표 “한국 핵잠수함 건조 승인”.
    영상은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사실상 허용했다고 주장한다.
    현재 공개 자료 기준으로 미국 정부의 공식 승인 문서는 없다.
    트럼프의 발언은 정치적 메시지 또는 후보자 발언 성격일 가능성이 높고, 실제 승인은 한미 원자력협정(123협정), NPT, 연료 공급 체계 등 복합 절차가 필요하다.

  • 17:15 “한국형 핵잠수함 이미 완성”.
    한국은 KSS-III 배치-I/II로 이어지는 재래식(비핵) 잠수함 기술에서 세계 상위권이며, 원자로 설계·원전 제작 역량도 높다.
    다만 ‘핵추진’은 원자로 소형화, 방사선 안전, 함체 통합, 연료주기, 승조원 훈련까지 별도 체계가 필요해 ‘이미 완성’이라는 단정은 과장이다.

  • 24:17 “K잠수함의 위력, 독일이 배 아파할 수준”.
    리튬전지·소나·유도무기 통합에서 한국은 독일, 일본과 경쟁한다.
    다만 핵추진은 AIP·대용량 배터리와 작전개념이 다르며, 비교는 동급 기준으로 해야 한다.

  • 29:41 “핵잠수함은 시작일 뿐, 한반도 핵무장 현실화”.
    핵추진(원자로 동력)과 핵무장(핵탄두 보유)은 전혀 다른 정책 영역이다.
    핵추진 논의가 곧바로 핵무장으로 이어진다고 보기 어렵고, 한국의 확장억제(EDE) 강화와 전술핵 재배치 논의는 별도의 외교·군사 트랙이다.

핵심 팩트체크: 무엇이 가능하고, 어디가 관건인가

  • 제도 장벽.
    한미 123협정은 농축·재처리를 엄격히 제한한다.
    AUKUS는 ‘동맹 예외’로 호주의 HEU 연료 탑재를 허용했지만, 전례가 자동 확대로 이어지진 않는다.
    한국은 LEU 기반 소형원자로(또는 HALEU)·연료주기·핵안전 규제 틀을 새로 갖춰야 한다.

  • 연료와 공급망.
    세계 HALEU 공급은 절대 부족이며, 미국·유럽도 SMR·잠수함용 수요를 놓고 증설 중이다.
    연료주기 확실성 없이는 사업 착수 결정을 내리기 어렵다.

  • 인력·항만·생산능력.
    원자로 운영 승조원 양성, 방사선 안전 체계, 핵잠수함 기항지의 방사선·해양환경 인증이 필수다.
    조선소는 디지털 트윈·정밀 용접·품질보증 체계를 군수 등급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 비용과 일정.
    핵잠수함은 도입비뿐 아니라 전주기 비용(LCC)과 해체 비용이 크다.
    재래식 대비 전략효과는 크지만, 예산·금리 환경과 균형 있게 봐야 한다.

왜 지금 이 카드가 나왔나: 지정학·경제 맥락

  • 인도-태평양 억제 구조 재편.
    중국의 해양세력 확대, 러시아-북한 군사협력, 대만해협 리스크가 겹치며 미국은 분산 억제 전력을 모색한다.
    한국의 대잠·수중전 기여는 연합작전에서 레버리지다.

  • 산업정책과 동맹 산업기반.
    미국·동맹은 반도체·배터리뿐 아니라 국방산업 공급망을 동맹 블록으로 묶고 있다.
    한국 조선·원자력·센서·AI 기업은 이 구조에서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다.

  • 거시환경과 금리.
    지정학 리스크 상승은 방산 예산 확대와 국채 발행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금리 변수에 영향이 있다.
    글로벌 경제전망 상, 국방·에너지 섹터는 상대적 방어주로 평가받지만 예산의 기회비용도 커진다.

산업·시장 파급: 누가, 무엇으로 움직이나

  • 조선·해양 시스템.
    핵잠수함 직접 수주 이전에도 KSS-III 성능개량, 대잠전(ASW) 함정, 소나·전투체계, 저소음 추진계열 수요가 늘 수 있다.
    디지털 트윈, 모델기반 시스템엔지니어링(MBSE), 자율 시험평가 인프라가 투자 포인트다.

  • 원자력·연료주기.
    연료 가공·집합체 제조, 핵연료 저장·안전 규제 역량이 병목이다.
    우라늄 가격은 구조적 타이트함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SMR·해군 수요가 동시 부상하면 사이클이 길어진다.

  • 센서·전자전·통신.
    저주파/광학 복합 소나, 저주파 능동소나(LFA) 논쟁, 양자센싱 연구, 위성-수중 통신 게이트웨이 투자 이슈가 부각된다.
    국방산업 전자·RF·광학 밸류체인이 동반 수혜를 본다.

  • 인력·서비스 시장.
    원자로 운용·방사선 안전·핵잠수함 설계 인증을 둘러싼 전문 인력 수요가 급증한다.
    군수 사이버보안(OT/ICS)과 정비(MRO) 서비스 시장도 커진다.

AI 트렌드: 해저전의 진짜 게임체인저

  • 멀티모달 수중 인지.
    소나 파형, 자기·중력 이상치, 압력·수온·염분 프로파일을 통합 분석하는 멀티모달 AI가 대잠 탐지 확률을 높인다.
    재학습 가능한 온보드 모델과 엣지 AI 칩이 필수다.

  • 자율 무인잠수정(UUV) 스웜.
    MUM-T(유인-무인 협업)로 탐지·기만·정찰을 분산 수행하고, 핵잠수함은 지휘·타격 플랫폼으로 작전 효율을 극대화한다.
    지형기반 내비게이션과 분산 SLAM, 초저전력 통신이 관건이다.

  • 생성형 AI와 전장 의사결정.
    시나리오 플래닝, 전술 코스 오브 액션(CoA) 생성, 로그 요약·이상탐지를 LLM/Agent가 지원한다.
    설명가능성(XAI)과 규칙기반 안전장치가 전투 체계 인증의 핵심 요건이다.

  • 디지털 조선소.
    생성형 설계, 자동 배관/케이블 레이아웃, 용접 시퀀스 최적화, 가상시운전으로 공정 단축과 품질 안정화가 가능하다.
    데이터 거버넌스와 보안 분리망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정책·전략 시나리오: 12~36개월 전망

  • 시나리오 A: ‘확장억제 강화 + 비핵추진 고도화’가 기본선.
    연합 핵우산 가시화, 전략자산 순환배치 확대, 한국은 재래식 잠수함과 UUV에 집중.
    실행 용이성이 높다.

  • 시나리오 B: ‘조건부 핵추진 로드맵 합의’.
    연료공급(LEU/HALEU) 체계, 항만·안전 인증, 비용분담 패키지를 단계 합의.
    AUKUS Lite 수준의 협력 모델이 검토될 수 있다.

  • 시나리오 C: ‘정치 변수로 고강도 추진 또는 지연’.
    미국 내 정치지형, 중국 반발, 비확산 레짐 논쟁에 따라 속도가 가속되거나 보류될 수 있다.

다른 데서 안 다루는 ‘보이지 않는 병목’만 콕 집어보기

  • 핵연료와 해체 비용의 그림자.
    연료 보급·재충전 주기, 저장·수송 규정, 사용후핵연료 처리와 해체 비용이 장기 재정에 큰 부담이다.
    재래식 대비 ‘보유의 정치경제학’이 훨씬 무겁다.

  • 사람과 장소.
    원자로 운영·정비 인력의 양성과 보안심사가 병목이며, 핵잠수함 기항지의 환경영향평가와 지역 수용성이 프로젝트의 진짜 임계점이다.

  • 데이터와 인증.
    AI-전투체계-센서 융합 소프트웨어의 사이버·안전 인증 프로세스가 일정의 목을 죈다.
    DevSecOps와 포멀 검증 역량이 국가전력의 질을 좌우한다.

  • 수중 통신 인프라.
    극저주파/음향/레이저 혼합 통신과 위성 릴레이의 연결성이 없으면 고성능 플랫폼도 반쪽짜리다.
    우주자산과 해저 네트워크의 동시 투자 없이는 시너지가 제한된다.

한국의 기술 현주소: 강점과 과제

  • 강점.
    세계적 조선 능력, 잠수함 체계통합 경험, 원전 제작·운영 노하우, AI·반도체 인프라가 결합 가능한 드문 국가다.

  • 과제.
    핵추진용 원자로 소형화·저소음화, 연료주기 보장, 규제·안전·항만 인증, 다년도 예산과 금리 환경을 관통하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투자 관점 체크리스트(조언 아님)

  • 국방산업 수요.
    대잠 플랫폼, 소나·전자전, UUV, 전투체계, 사이버·암호, 군수 MRO를 장기 테마로 본다.

  • 원자력 체인.
    연료·가공·용기·계측·안전에 대한 모멘텀과 우라늄 사이클의 지속성 여부를 본다.

  • AI 트렌드 결합.
    멀티모달 센서 AI, 엣지 컴퓨팅, 디지털 트윈, 생성형 설계의 레퍼런스 확대를 추적한다.

  • 정책 모니터링.
    한미 123협정 관련 협의, 항만·환경 평가, 예산안 처리, 국제 비확산 레짐 논의가 이벤트다.

한눈에 보는 결론

  • ‘한국 핵잠수함’ 이슈는 단순 승인·비승인의 문제가 아니라, 연료·인력·항만·AI·예산까지 얽힌 국가 종합 프로젝트다.
  • 당장 내일 배가 나오는 그림은 아니지만, 동맹 산업기반 재편 속에서 한국의 역할과 옵션은 빠르게 넓어지고 있다.
  • 지정학 리스크가 높아지는 환경에서 국방산업과 원자력, AI 트렌드의 교차점이 향후 10년의 산업지도를 바꿀 가능성이 크다.

< Summary >트럼프 발언은 정치적 신호일 가능성이 크고, 공식 승인·합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핵잠수함의 관건은 연료주기, 인력·항만 인증, 소프트웨어·AI 인증, 전주기 비용이다.
한국은 조선·원전·AI 강점을 바탕으로 재래식+UUV 고도화를 선행하고, 조건부 핵추진 로드맵이 중기 시나리오다.
지정학 리스크가 커지는 만큼 국방산업과 원자력, AI 트렌드가 결합한 투자·산업 기회가 확대된다.
금리·예산·국제 규범을 동시에 읽는 거버넌스가 성패를 가른다.

[관련글…]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트럼프의 경제 전략, 금리·환율·트럼프 전략으로 본 2026 경제 시나리오 [클로즈업 – 교보문고 강연 1편]“ *출처: [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 ] –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트럼프의 경제 전략, 금리·환율·트럼프 전략으로 본 2026 경제 시나리오 [클로즈업 – 교보문고 강연 1편] 2026 시나리오: “돈의 가치를 떨어뜨려라” 디베이스먼트, 금리·환율·유동성으로 본 글로벌 경제전망 트럼프…

Feature is an AI Magazine. We offer weekly reflections, reviews, and news on art, literature, and music.

Pleas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to let us know whenever we publish new content. We send no spam, and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