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아카데미]
“[이효석이 간다] 일본 도쿄 ADL 가서 강의하고 왔습니다“
미중 AI 패권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대변화: 한국 경제의 기회와 리스크
오늘 글에서는 미중 AI 패권 경쟁의 전개, 글로벌 공급망 재구성, 그리고 한국 및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들을 시간 순서별로 정리함.
글로벌 컨설팅사 ‘아서디 리틀’과 인류 최대 프로젝트 아폴로 사업, 그리고 대한민국의 경제개발 계획에 함께한 역사도 다룸.
팔란티어, 엔비디아 등 글로벌 IT기업이 왜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는지, 제조업계 OS가 갖는 전략적 의미가 무엇인지,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까지 알기 쉽게 설명함.
아울러 ‘경제적 파산’이란 개념과 우리 모두의 생존 전략도 구체적으로 짚어줌.
최신 글로벌 경제 트렌드, 인공지능, 공급망, 데이터 전략, 중국과 미국 패권전쟁, 그리고 한국 경제의 진로에 관심 있다면 꼭 끝까지 정독할 가치 있음.
1. 글로벌 컨설팅 ‘아서디 리틀(ADL)’의 역사와 한국과의 인연
- ADL, 컨설팅 산업의 원조
아서디 리틀(ADL) 1886년 MIT 교수 리틀이 창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글로벌 컨설팅 기업임.
아폴로 프로젝트 등 인류 최대의 과학·기술 사업에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제공.
- 한국 경제개발에 고문 역할
박정희 정부 당시 경제개발 오개년 계획 수립 시, 한국 정부에 컨설팅하며 중화학공업 육성 방향 제시.
한국 현대화와 산업화 큰 기여.
2. 경제적 파산: 누구도 예외 없는 현실적 위협
- 개념 설명
경제적 파산은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아졌을 때 쌓인 자산이 감소, 결국 바닥나 사라지는 순간임.
“내 자산이 죽었는데 내가 살아 있는 것.” 이 상태를 경제적 파산으로 정의.
- 우리 모두의 고민
건강과 부자가 불분명하지만, 죽음과 파산은 누구에게나 명확히 다가옴.
한국인 모두가 경제적 파산에서 멀어지는 법을 평생 고민해야 하는 시대.
- 실천 전략
개인의 의지로만 극복하기 어려움. 나 자신에게조차 반복적으로 거짓말하는 약한 존재이기 때문.
구체적 장치·행동으로 지속적 관리를 해야 함.
3. 미중 AI 패권 전쟁: 경쟁 본격화 & 공급망 재편
- AI와 블록체인 중심의 첨단 경쟁
미중 양국, 인공지능·블록체인·데이터 기술을 놓고 영구적 경쟁 본격화됨.
특히 AI 반도체·클라우드·제조업 혁신에서 초격차 노리는 중.
- 공급망 대이동
미국, 중국과의 디커플링 본격화. 반도체, AI 칩, 첨단기술 등 주요 핵심 소재 생산·공급에서 중국 비중 줄임.
중국도 공급망 체계 내재화 적극 추진.
- 영구적 구조 전환
과거 ‘트럼프 이후 원상복구’ 기대 사라짐. 미국과 중국의 패권 대립은 한 국면 넘어서 돌이킬 수 없는 구조로 진입.
공급망·시장·국가 전략 모두 이 프레임 속에서 해석 필요.
4. 팔란티어와 제조업 OS 혁신
- 팔란티어, 제조업의 게임 체인저?
데이터 중심 제조업 OS(운영시스템) 제공하는 팔란티어 부상.
AI, 데이터, 온톨로지(ontology) 기술 결합해서 생산성 및 효율 폭발적 개선 시도 중.
HD현대조선 등 국내 대기업도 팔란티어 도입해 혁신 가속.
- 채GPT가 붙으면서 혁신 속도 가속화
팔란티어의 AI 업무 자동화·통합 관리 역량이 ChatGPT 기술 결합되며 폭발적 확산.
미국에서 제조업 리쇼어링이 현실성 얻게 해주는 동인.
5. 시사점 및 한국 경제의 과제
- 한국의 새 전략 필요
글로벌패권경제, 공급망재편, 인공지능혁명, 데이터전략 등 메가트렌드를 읽고 주도적으로 대응 필요.
중장기적 생존·성장 매뉴얼을 갖출 것 강조.
- 위기 속 기회
부의 기준이 바뀌는 환경. 위기관리와 혁신 역량이 미래 성패 좌우.
기업·개인 모두 시나리오 플래닝과 전략적 투자 필요.
< Summary >
- ADL 컨설팅, 아폴로 프로젝트, 박정희 정부 등 역사적 맥락 소개
- 경제적 파산을 피하기 위한 현실적 고민 및 전략
- 미중 AI패권전쟁과 공급망 재편 등 글로벌 경제 트렌드 해설
- 팔란티어 등 혁신기업이 제조업 혁명을 주도하는 사례
- 한국경제의 도전과 기회 요약 제시
[관련글…]
“`
*유튜브 출처: [이효석아카데미]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