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안 배경과 핵심 내용
─────────────────────────────
• 트럼프 대통령은 IRS(내국세청)를 대체하기 위해 모든 수입에 관세를 부과하는 ‘외부세수’ 개념을 내세웠습니다.
• 행정부 측 설명에 따르면, 미국은 연간 약 3조 달러의 소득세 수입을 관세 수입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미국은 연간 약 3조 달러 상당의 수입품을 들여오는데, 이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붙여 소득세 수입을 대체하려는 시도입니다.
─────────────────────────────
2. 관세 전환의 수치와 경제적 도전 과제
─────────────────────────────
• 기본 계산: 미국이 연간 3조 달러의 소득세를 관세로 대체하려면, 수입품 가격의 최소 100% 관세가 필요합니다.
• 문제점: 가격이 두 배 이상 오른다면 소비자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 텐데, 실제로 관세 수입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200%까지 관세율이 상승해야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경제학 기본 원리: 가격이 오른다면 소비는 떨어지고, 과도한 관세는 수입 감소 및 소비 위축을 초래하게 됩니다.
─────────────────────────────
3. 소비자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
─────────────────────────────
• 높은 관세는 소비자에게 전반적인 가격 인상을 가져올 것.
- 가전, 자동차, 의류, 심지어 에너지 제품까지 수입 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제조업 활성화 의도와 역효과 -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 내 제조업 진흥을 기대하고 있지만, 과도한 수입 규제는 오히려 국내 소비 시장을 위축시키거나 공급망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기업 세수 구조 문제 - 소득세가 아닌 관세로 세수를 대체하게 된다면, 기업의 과세 비중은 일부 보완될 수 있으나 현재 미국 전체 세수에서 기업세는 개인소득세 대비 작은 비율(약 6%대)입니다.
- 게다가 트럼프 행정부는 기업세 인하 정책을 추진 중이라, 관세로 소득세를 대체하는 계획에는 더 큰 불확실성이 따릅니다.
─────────────────────────────
4. 정책 전개와 향후 전망
─────────────────────────────
• 행정부는 현재 25% 목재 관세,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의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이며, 캐나다·멕시코 등과의 교역에도 대응 조치를 마련 중입니다.
• 전문가들은 수입 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을 우려하며, 관세 정책이 실제 세수 전환에 얼마나 효과적일지에 대해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 IRS 인력 감축 소식 또한 정책 전환과 맞물려 IRS의 역할을 재검토하려는 행보로 보이나, 그 결과가 세수 확보에 미칠 영향은 아직 불투명합니다.
─────────────────────────────
5. 정리 및 시사점
─────────────────────────────
• 트럼프 행정부의 외부세수 제안은 기존 세수 체계를 뒤흔들 수 있는 혁신적인 시도이나, 관세 인상에 따른 소비 감소와 시장 불안 요인은 쉽게 간과할 수 없는 큰 문제로 부각됩니다.
• 미국 경제 구조상 소득세에 의존하는 재원 마련 시스템을 관세로 대체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실제 시장 상황에서는 수요 악화 및 가격 인상으로 인한 부작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향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집행 방향과 경제 전반에 미칠 파급 효과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 신중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처럼 트럼프의 관세 정책 제안은 단순히 IRS를 없애는 것 이상의 복잡한 경제적 파장을 내포하고 있으니, 앞으로 관련 뉴스와 전문가 의견에 주목하며 경제 흐름을 점검해보면 좋겠습니다.
*Source URL:
https://edition.cnn.com/2025/02/20/economy/trump-abolish-irs/index.html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