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경제TV]
“현실화되는 달러의 최대 위기, 미국 국채 팔아대는 중국? (박종연) | 인포맥스라이브 0221“
■ 금값 상승의 주요 배경
• 달러 패권 위기:
─ 미국 달러 중심의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어요.
─ 중국, 러시아, 인도 등 주요 국가들이 달러 대신 안전자산인 금을 축적하며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고 하는 상황입니다.
• 글로벌 불안과 인플레이션 기대:
─ 미국 재정적자와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면서 달러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어요.
─ 인플레이션과 경기 불안 등으로 금에 대한 안전자산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미국 재무부와 금 재평가 이슈
• 재무부 보유 금액 문제:
─ 미국 재무부가 포트녹스 등에서 보유 중인 약 8,200톤의 금을 장부가(온스당 약 42.2달러)로 평가해왔으나, 실제 시세는 2~3천달러 수준입니다.
─ 재평가를 통해 보유 금액의 가치가 8천억 달러까지 확 늘어난다면, 그 자산을 어떻게 활용할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 단기적으로 금을 매각하면 시장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위험이 있어요.
■ 중국·러시아 등 주요 국가의 금 매집 현황
• 지속적인 금 보유 증가:
─ 과거 2015년부터 중국과 러시아는 매년 금 보유량을 꾸준히 늘려왔습니다.
─ 러시아는 1300톤에서 2200톤, 중국도 1600톤에서 2300톤으로 상승했어요.
▪ 이는 미국의 달러 중심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의 일환입니다.
• 달러 대체 자산으로서의 금 가치:
─ 국제 결제 시스템에 달러 의존도가 높지만, 달러 신뢰도가 약화되면 결국 금 보유가 안전망으로 주목받게 돼요.
─ 달러와 금은 역사적으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최근에는 달러 강세에도 불구하고 금 값이 상승하는 모순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달러와 기축통화의 문제점
• 미국의 재정 상황과 기축통화의 딜레마:
─ 미국은 기축통화 특권 덕분에 필요할 때마다 달러를 찍어낼 수 있지만, 이는 막대한 국가 부채와 무역 적자로 이어집니다.
─ 과거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와 닉슨 쇼크를 떠올리면, 달러의 절대적 신뢰도는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죠.
• 무역수지와 부채의 악순환:
─ 미국의 무역 적자와 재정 적자는 달러를 발행하는 양을 늘릴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다른 국가들과의 경제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로 작용할 수 있어요.
─ 이에 따라 중국, 러시아 등은 미국채 보유 비중을 줄이는 대신, 금 보유를 늘려 외환 보유고 구조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과 투자자 주의점
• 금에 대한 투자 심리:
─ 달러 대신 금에 투자하려는 동향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단기적 투기와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어요.
─ 금 가격 상승이 단순한 수요 증가만큼, 미국의 기축통화 위기 심화에 따른 부수 효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미국의 정책 대응:
─ 재무부와 트럼프 대통령(또는 미국 정부)은 무역 적자와 재정 문제 해결을 위해 관세 부과, 국부펀드 설립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 이러한 정책 변화가 금값 및 국제 금융시장의 향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시점입니다.
■ 결론
현재 금 가격 상승은 단순히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뿐만 아니라,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을 나타내는 현상입니다.
앞으로 미국의 재정 정책, 국제 무역 관계, 그리고 각국의 금 보유 확대 움직임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글 at next-korea.com/]
• 금: https://next-korea.com/?s=%EA%B8%88
• 달러: https://next-korea.com/?s=%EB%8B%AC%EB%9F%AC
*출처 : [연합뉴스경제TV] 현실화되는 달러의 최대 위기, 미국 국채 팔아대는 중국? (박종연) | 인포맥스라이브 0221
*더보기..[너만모르는 글로벌뉴스] – 신박한 유튜브 요약블로그? https://NextLens.Net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