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원의 성공투자]
“Inflation, AI, Tariffs & Tesla – What’s Coming Next?“
미국 1월 CPI 상승률과 시장 반응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면서 시장이 요동쳤다.
헤드라인 CPI는 연율 기준 3.26% 상승하며 예상치 3.1%를 초과했고,
월별 상승률도 **0.5%**로 시장 기대치 0.3%보다 높았다.
코어 CPI는 3.0% 상승했고, 월별로는 0.4% 증가하여 예상치 0.2%를 넘어섰다.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 분석
-
주택 및 렌트비 급등:
핵심 인플레이션의 주요 상승 요인이며 이를 제외하면 연말까지 **1.8%**까지 감소 가능 -
트럼프 관세 변수:
2024년 관세 인상 가능성이 인플레이션 추가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관세가 10%로 증가하면 CPI가 0.5%~1.5% 추가 상승
- 최악의 경우 24%까지 인상 시, CPI가 3.5%까지 치솟을 가능성
-
연준(Fed) 금리 정책 변수:
만약 CPI가 3.5% 이상으로 오르면 금리 인하보다는 금리 인상 가능성 대두
주식시장 전망
-
S&P 500 PER 분석:
- 현재 S&P 500의 선행 주가수익비율(P/E ratio)은 약 22배
- 금리 4.5% 유지 시 적정 PER은 22.2배
- 금리 5% 상승 시 PER 감소(주가 9% 하락 가능)
- 금리 4% 하락 시 PER 증가(주가 14% 상승 가능)
-
시장 밸류에이션 비교:
- 닷컴 버블(2000년) 당시 PER이 40배 이상
- 현재 시장은 닷컴 버블 수준보다는 고평가 상태지만 극단적인 거품은 아님
AI 관련 주식 전망
-
AI 시장 장기 사이클 분석:
- 인터넷 혁신 -> 하드웨어 성장 -> 소프트웨어 확산과 같은 흐름 예상
- AI 시장은 인터넷 버블보다 짧고 강한 성장 예상
- NASDAQ 과거 트렌드(인터넷 붐 대비 아직 초기 단계에 해당)
-
반도체 vs. 소프트웨어 투자 비교:
- 하드웨어(반도체, 데이터센터)에서 소프트웨어(서비스)로 빠르게 전환
- 반도체 대표주 NVIDIA보다 팔란티어(PLTR) 등 소프트웨어 주식 상승률 더 높음
- 소프트웨어 관련 ETF(IGV 등) 주목 필요
테슬라 vs. BYD 전기차 경쟁
테슬라는 전기차(EV) 시장에서 AI 기반 자율주행(FSD) 기술 우위로 경쟁력 확보 중
-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이 BYD 대비 선도적 위치
- 중국 EV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테슬라가 장기적으로 우위 가능성 높은 이유:
- 미국 AI 및 데이터 분석 역량 우세
- FSD 기술이 EV 판매 향방을 결정할 핵심 변수
- 중국의 미국 기술 추격 가능성 제한적
< Summary >
1월 미국 CPI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며 연준 금리 정책 불확실성 확대.
주요 상승 요인은 주택비용, 관세 리스크, 그러나 장기적으로 AI 발전이 인플레이션 억제 가능성.
주식시장에서는 금리 변화에 따른 변동성 지속 전망, S&P 500은 적정 수준이지만 추가 상승 여력 있음.
AI 관련 주식에서는 반도체보다 소프트웨어 종목 강세, AI 주기가 짧고 강렬하게 진행될 가능성.
테슬라는 자율주행 및 AI 기술 우위로 중국 BYD 대비 장기 성장 가능성이 큼.
[More…]
-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 최신 분석
- 테슬라 vs. BYD 전기차 시장 경쟁
*유튜브 출처: [유동원의 성공투자]
- Inflation, AI, Tariffs & Tesla – What's Coming Next?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