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몽키]
“이번엔 상호관세? 예측불허 트럼프 정책의 수혜주와 피해주들“
상호 관세란?
- 트럼프가 발표한 새로운 개념으로, 상대 국가가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만큼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정책.
- 목표는 미국 무역적자 해소와 미국 내 제조업 보호.
최근 관세 조치와 시장 반응
- 2주 전 딥시크 이슈 발생 → 증시 일시적 하락
- 지난주 3국(캐나다, 멕시코, 중국) 관세 부과 발표 → 시장 재차 하락
- 이후 캐나다·멕시코 관세 유예 발표 → 시장 반등
- 이번 주 상호 관세 발표 → 다시 시장 변동성 확대
트럼프의 패턴:
- 강하게 발표 → 시장 충격 → 협상 여지 제공 → 유예 또는 철회.
- "미국이 무역에서 피해를 봤다"는 논리를 앞세우며 강경한 입장.
- 실질적으로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모양새.
트럼프 관세 전략과 대응 국가들
1. 일본
- 일본 총리 빠르게 미국 방문하여 정상 회담 진행.
- 미국산 무기 구매 확대, 미국산 가스(LNG) 추가 수입, 미국 내 추가 투자 발표.
- 트럼프가 이에 긍정적으로 대응하며 "미국과 일본은 강한 동맹이다" 라고 강조.
2. 유럽연합(EU)
- 미국과 자동차 관세 조정 논의.
- 자동차 관세 10% → 2.5%로 인하 가능성 언급.
- 미국산 무기와 에너지 구매 확대.
3. 한국
- 아직 공식 대응 없지만, 트럼프와 미국 측 인사들이 지속적으로 가스 추가 구매, 자동차 무역 불균형을 지적.
- "한국이 미국산 가스를 더 구입하면 무역적자가 해소될 것"이라는 미국 측 입장.
시장 반응 및 영향을 받는 주식
1. 관세 피해주 (약세)
-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기업
- 애플(중국 의존도 높음)
- 테슬라(미-중 무역전쟁 영향)
- 자동차, 스마트폰 등 글로벌 공급망 영향을 받는 기업들
2. 관세 피난처 주식 (강세)
-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업
- 메타(Facebook), 팔란티어,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등 (물리적인 제품 없어 관세 영향 적음)
- 사이버 보안 기업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팔로알토 네트웍스 등.
- 금융 및 내수 관련 기업
- JP모건, 골드만삭스, 월마트, 코스트코 등.
- 방산 및 에너지 기업
- 미국 방산 관련 기업 (록히드마틴, 노스럽그루먼 등)
- LNG 관련 기업 (셰브론, 엑손모빌 등)
AI 및 반도체 산업 영향
- 스타게이트 연합 (소프트뱅크-오픈AI 연합)
- AI 투자 확대 → 데이터 센터 및 전력 수요 증가.
- 전력 기업(비스트라, 컨스텔레이션) 및 원자력 관련 주식 강세.
향후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 관세는 노이즈이며 장기적으로 해결될 가능성이 높음.
- 단기 조정 시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 가능.
- AI, 클라우드, 방산, 금융 등의 종목은 지속 주목할 필요가 있음.
- 2월 중순~3월 중순 변동성 클 수 있음 → 분할 매수 전략 추천.
< Summary >
-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시장 변동성 증가.
- 일본과 유럽은 빠르게 대응하며 미국과 협상 추진.
- 한국도 자동차·에너지 부문에서 압박받을 가능성 있음.
- 관세 영향을 받는 자동차·스마트폰 기업(애플, 테슬라 등)은 부진.
- 소프트웨어, 금융, 방산, 에너지 기업들은 강세.
- AI 관련 투자 확대로 데이터센터 및 전력 관련 기업 주목.
- 관세 이슈는 일시적 노이즈일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으로는 반등 가능성 높음.
[More…]
-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 분석 → https://next-korea.com/?s=%ED%8A%B8%EB%9F%BC%ED%94%84
- AI와 데이터센터 산업 동향 → https://next-korea.com/?s=AI
*유튜브 출처: [소수몽키]
[전인구경제연구소]
“What would happen to Korea if the steel tariff were 25%?“
1. 트럼프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배경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오는 10일부터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2018년 1차 철강 관세 부과와 유사한 형태로,
미국 내 철강 산업을 보호하고 중국산 철강의 우회 수입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2018년 당시 한국은 미국과 협상을 통해 철강 수출 쿼터제를 적용받아
일정한 수출량을 유지하면서도 관세를 면제받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일괄적으로 25% 관세를 적용받는 방식을 택했다.
트럼프가 이러한 결정을 내린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철강 산업 보호
- 미국은 연간 약 8천만 톤의 철강을 생산하지만 소비량은 1억 톤
- 자체 생산량이 75% 정도이고 나머지 25%를 수입으로 충당
- 중국산 철강이 유입될 경우, 미국 철강 산업이 붕괴할 가능성
- 바이든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면서 중국산 철강 수입을 제한했으나 여전히 우회 수출 가능성 존재
-
중국산 철강의 우회 수출 차단
- 한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등이 중국산 철강을 우회 수출하는 국가로 의심됨
- 이에 따라 한국도 25% 관세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
2. 미국 철강 시장 구조와 관세 영향
미국은 철스크랩(고철) 재활용을 많이 활용하고, 전기로(電氣爐) 방식을 통해 철강을 생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반면, 중국은 연간 10억 톤 이상 생산하며, 경기 침체가 오면 수출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관세가 미국 내철강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해보면 다음과 같다.
-
미국 철강 가격 상승 가능성
- 수입 철강이 25% 관세를 적용받으면, 전체 시장 가격이 상승
- 하지만 관세가 가격에 100% 반영되기는 어려움
- 예상 가격 상승률: 전체 평균 10% 이내
-
한국 철강업체 가격 경쟁력 악화
- POSCO, 현대제철 등 한국 철강사들은 관세 부담으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 악화
- 판매 가격 유지가 어려워 최대 20% 가격 인하 필요
- 비용 절감을 위한 추가 압박 발생
3. 한국 철강업체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한국 철강업체들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예상할 수 있다.
-
POSCO (포스코)
- 2023년 영업이익: 2.2조 원
- 미국 수출 비중: 15%
- 20% 가격 인하 발생 시 예상 손실: 2.9조 원
- 적자 전환 가능성 증가
-
현대제철
- 영업이익: 3144억 원
- 미국 수출 비중: 5%
- 20% 가격 인하 발생 시 예상 손실: 2900억 원
- 영업이익률 0.1%까지 하락 가능
결과적으로, 수출 비중이 높은 POSCO는 적자 전환 가능성이 높으며, 현대제철 역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전망이다.
4. 트럼프의 관세 정책 의도
트럼프가 철강 관세 부과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단순한 세수 확보가 아니라,
미국 제조업과 군수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보인다.
-
세수 확보 여부
- 관세를 통해 연간 약 5조 원의 세수 확보 가능
- 하지만 미국의 재정적자는 18조 달러로, 큰 영향 없음
-
제조업 보호 및 경기 둔화 유도
- 과거 2018년 1차 철강 관세 당시,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7만 5천 개 감소
- 철강 노동자 1명 증가할 때 제조업 종사자 3명 감소로 연결
- 철강 가격 상승으로 자동차·건설 등 제조업 부담 증가
- 결국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증가
-
장기적으로 제조업 경쟁력 유지
- 미국의 철강 생산량은 1억 톤 미만으로 낮음
- 중국과의 경쟁에서 뒤처질 경우, 향후 군수산업에도 부정적 영향
- 전쟁 발생 시, 국산 철강 생산량이 중요해짐
- 철강 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일 가능성
5. 향후 전망 및 투자 전략
-
미국 철강회사 투자 여부
- 2022년 철강 가격 급등 ($1,800/톤 → 현재 절반 수준)
- 미국 철강사들의 이익 감소 (뉴코어, US 스틸 등)
- 단기적으로 철강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경기 둔화로 인해 장기적 성장은 어려울 가능성
-
한국 철강업계 대응 방안
- 미국 수출 비중이 큰 기업들은 대체 시장을 모색해야 함
- 현지 공장 투자 및 생산 방식 전환이 필요 (베트남, 인도 등으로 공급망 다변화)
- 가격 정책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타격을 최소화하는 전략 필요
-
미국 경제 영향 예상
- 경기 부양보다는 경기 둔화 가능성이 높음
- 제조업 비용 부담 증가 → 생산 축소 → 고용 감소 → 소비 침체
- 결과적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질 것
한국 철강업계는 단기적으로 큰 부담이 될 것이지만,
경기 침체가 찾아오면 오히려 철강 가격 하락으로 인해 미국 기업들도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트럼프의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국내 철강업체에 타격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제조업이 타격을 받는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
< Summary >
-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 → 철강업계 영향 우려
- 2018년 1차 관세 때 한국은 쿼터제로 관세 면제 → 이번엔 모든 국가에 25% 부과
- 미국 철강업 보호 및 중국 우회 수출 차단 의도
- 한국 철강업체 POSCO, 현대제철 매출 타격 예상 (POSCO 적자 가능성)
- 철강 가격 상승 → 미국 제조업 비용 증가 → 경기 둔화 가능성
- 한국 기업은 수출 다변화 및 가격 조정 필요
[More…]
-
트럼프 철강 관세 발표와 한국 철강업계 전망
https://next-korea.com/?s=%EC%B2%A0%EA%B0%95 -
미국 경기 둔화와 글로벌 경제 영향 분석
https://next-korea.com/?s=%EB%AF%B8%EA%B5%AD*유튜브 출처: [Jun’s economy lab]
-
What would happen to Korea if the steel tariff were 25%?
[Supply Chain Now]
“Powering Aerospace Manufacturing Forward with Digital Innovation“
항공우주 제조업의 핵심 과제
항공우주 산업은 복잡한 규제 환경과 정밀한 제조 기술이 요구되는 산업이다. 특히,
- 규제 및 법적 요구사항 준수: 정부 및 고객으로부터 요구되는 엄격한 품질 및 안전 기준이 존재
- 복잡한 공급망 관리: 다중 공급업체와의 협업 및 원자재 품질 검증 필수
- 디지털 기술 도입의 필요성: 효율적인 생산과 공급망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IT 기술 활용
항공우주 제조의 특징
1. 다층적인 규제
항공우주 제조업은 여러 계층의 정부 및 고객 요구사항이 적용되는 산업이다.
- 예: 미국 국방부(DoD) 및 NASA 계약 납품 시 수많은 규격 준수 필요
- 제조업체들은 품질 인증(예: AS9100)과 같은 표준을 준수해야 하며, 지속적인 감사를 받는다
2. 공급망의 복잡성
"Aerospace Supply Chain"에서는 원자재에서 최종 조립까지 다단계 공급망이 형성된다.
- 단순한 금속 부품조차도 엄격한 검증을 거쳐야 하며, 특히 강도, 내구성, 합금 성분 등이 검토됨
- 예를 들어, 중국에서 제조된 부품보다 미국 내에서 제조한 부품이 더욱 엄격한 테스트를 거쳐야 할 가능성이 높음
3. 행정적 업무가 제조보다 더 어렵다?
- 일부 기업에서는 "항공우주 산업에서 제조 자체는 쉽지만, 관리가 어렵다"는 말이 있다
- 실질적으로 문서 작업과 절차 준수가 핵심 요소이며, 많은 시간이 소요됨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첨단 기술과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면 비효율적 프로세스를 줄이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1. 스마트 ERP 시스템 도입
- 기존 엑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인력 의존적 견적 시스템은 리스크가 크다
- ERP(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및 자동화 가능
- 예: 자동 견적 생성 기능을 포함한 ERP를 도입하면, 주요 담당자가 부재해도 견적 업무 지속 가능
2. 공급망 가시성 강화
- 공급망 전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 IoT 센서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원자재 품질 보증 및 추적 가능
- 예: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항공기 부품의 출처 및 제조 이력 검증이 가능
3.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도구 활용
- 고객 주문 패턴 및 생산 일정 최적화를 위한 AI 적용
-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 분석을 통해 공급망 리스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음
4. 사이버 보안 강화
- 방산 및 항공우주 기업은 사이버 보안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음
- 클라우드 기반 보안 솔루션 및 다층 인증 시스템을 활용한 정보 보호 필요
결론 및 요약
항공우주 제조업은 강력한 규제 환경과 복잡한 공급망을 가진 산업이다.
기업들은 ERP 시스템 도입, AI 활용, 그리고 공급망 가시성 강화 등을 통해
견적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Summary >
- 항공우주 제조업은 다중 규제 및 복잡한 공급망 환경에 놓여 있다.
- 디지털 혁신 없이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힘들다.
- 스마트 ERP 시스템 도입과 AI 활용이 필수적이다.
- 블록체인 및 IoT 센서를 통해 공급망 투명성을 강화할 수 있다.
- 강력한 사이버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다.
[More…]
- 항공우주 산업 디지털 전환 핵심 요소
https://next-korea.com/?s=%EB%94%94%EC%A7%80%ED%84%B8%EC%A0%84%ED%99%98 - 공급망 관리 최적화 전략 및 성공 사례
https://next-korea.com/?s=%EA%B3%B5%EA%B8%89%EB%A7%9D*유튜브 출처: [Supply Chain Now]
- Powering Aerospace Manufacturing Forward with Digital Innovation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