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구경제연구소]
“트럼프1기 협상, 제가 직접했습니다(ft. 최용선 작가 1부)“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의 흐름
트럼프 대통령 시기 (2018년도~2020년도)
-
트럼프의 협상 전략:
트럼프는 과감한 숫자와 상징적인 목표를 제시하며 협상을 주도함.
초기 방위비 분담금을 50억 달러로 요구했고, 이는 협상 내 주요 갈등 요소로 작동. -
한국의 대응 전략:
트럼프의 강압적인 요구에 대해 국내법과 예산범위를 근거로 협상 진행.
'시간 끌기'와 다른 한반도 이슈(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 트럼프를 집중시키는 전략을 활용. -
방위비 협상 주요 쟁점:
- 미국은 인건비와 주한미군 외 지역(하와이, 시애틀 등)의 비용도 분담 요청.
- 국내 법률(국가재정법 등)과의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큰 논의.
- 방위비 분담금을 현금 지원이 아닌 현물 지원으로 전환하는 노력도 포함.
협상 과정에서의 전략과 기술
-
물밑 협상과 심리전:
공식·비공식 접촉을 활용해 전략을 조율하며 트럼프의 스타일에 맞춰 계획 수립.
트럼프는 폭압적이면서도 빠른 결론을 원하는 성격으로, 이에 대한 대응도 설계됨. -
국내외 여론의 역할:
국민과 국회의 이해와 동의가 협상의 성공을 좌우.
하나의 협상만으로 방위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 지속적 노력이 필요.
현실적 한계와 시사점
-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단순히 주한미군 문제를 넘어 미국의 국방비 전체 부담 구조와 연결됨.
- 인건비 및 미군 본토 비용 등을 공유하려는 미국의 전략은 장기적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음.
- 대한민국은 국익과 비용 효율성을 감안해 최적의 분담안을 제시하고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함.
< Summary >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한미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증액하려는 고강도 전략을 펼쳤으나, 대한민국은 국내법과 예산 범위 내에서 비용 합리화를 위해 물밑 협상, 여론전, 시간끌기 전략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국제법 및 한미 동맹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협상은 파레토 최적(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선의 지점)을 찾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협상 과정에서 현금 대신 현물로 지급 전환 등의 개선도 이루어졌습니다.
[More…]
- 트럼프 협상의 본질: 무엇을 염두에 두어야 하나?
-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의 흐름과 전망
*유튜브 출처: [Jun’s economy lab]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