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미국 주식 시장이 미쳐간다?! ‘한국화’의 충격적 진실!“
미국 자산 운용사 중 오랜 전통을 가진 아케이디아 에셋 매니지먼트의 임원급 인사가 2024년 6월 작성한 글을 통해 미국 주식 시장이 한국 주식 시장의 특징을 모방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코리아 파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여 한국화되고 있다는 현상을 언급하고 있으며, 미국 투자자들이 한국의 테마주와 유사한 투자 패턴을 보인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코리아 파이와 테마주 개념
미국 투자자들이 ‘민주식’이라 부르는 개념이 한국에서는 ‘테마주’로 전개되는 현상을 지적합니다.
테마주란 기본적 가치와 상관없이 단기 이익을 위해 특정 소문이나 이벤트에 반응하여 거래되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이 글은 특히 한국 주식 시장에서 수년간 나타난 테마주의 특징들을 꼽으면서, 미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
한국 테마주의 세 가지 두드러진 특징
3.1 시장 허무주의
대부분의 테마주는 탄탄한 기초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전제를 바탕으로 형성됩니다.
이로 인해 아무리 상승하는 주가라도 결국 시장의 근본적인 이유를 상실하게 되는 허무주의 현상이 발생합니다.
3.2 정치 테마주
선거 기간 동안 후보와 연결된 주식들이 단기간에 급등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예를 들어, 2007년 이명박 후보 관련 건설주들이 선거 전 평균 7,750% 이상 상승하였다가 당선 후 급락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특정 후보가 출마하면 관련 주식들이 무리한 상승세를 보이며, 선거가 끝난 후 하락하는 패턴이 반복됩니다.
3.3 개인 투자자들의 독특한 문화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은 도박과 같은 투자 방식을 즐기며, 공매도에 대한 포퓰리즘적 적대감과 음모론적 신념이 혼합된 서브컬처를 형성합니다.
이들은 주로 단기 이익을 위해 상승 밴드왜건에 올라타고, 가격 변동성을 매력적인 투자 기회로 규정합니다.
특히, 유명 인사의 이름이나 소문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
정치 테마주 사례와 시장 왜곡
2007년 이명박 후보와 관련된 건설주, 싸이 효과로 인한 반도체 테스트 장비 제조사의 주가 급등 사례 등이 대표적입니다.
싸이 효과의 경우, 싸이의 인기로 인해 관련 기업 주가가 최대 700%까지 상승하면서도, 실질적인 기업의 가치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2016년 반기문 후보와 관련된 LCD 부품 제조업체의 주가도 소문에 의해 급등했다가 후에 돌아가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
미국 시장의 미래와 경고
미국 자산운용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미국 시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직 완벽하게 한국형으로 전환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는 민 주식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각 대선 후보마다 수십 개의 주식이 정치적 테마로 연관될 가능성이 있으며, 공매도 금지와 같은 정책 변화도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그러나 다행히 현재 미국은 이러한 한국화 현상이 완전히 확산되지는 않았으므로, 투자자들은 신중한 분석과 판단이 필요합니다. -
공매도 규제와 개인 투자자들의 반응
한국에서는 일부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를 ‘조작’이나 ‘부당한 무대’로 인식하여, 강력한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임시 공매도 금지 조치가 시행된 사례가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움직임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개인 투자자들의 목소리와 정치적 요구가 투자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이 한국 시장의 또 다른 특징입니다.
- 종합적인 이해와 결론
미국 시장이 한국화되는 현상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특정 투자자들의 문화와 패턴이 미국에도 점차 스며들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미국은 아직 한국처럼 과도한 테마주 및 정치 주도형 주식 가격 변동의 단계에는 이르지 않았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근본적 가치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분석을 수행해야 하며, 단기 소문에 의한 시장 왜곡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Summary >
미국의 오랜 자산 운용 전문가가 2024년 6월 작성한 글을 통해 미국 주식 시장에 한국의 테마주 특징이 스며들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테마주의 세 가지 주요 특징(시장 허무주의, 정치 테마주, 개인 투자자 문화)을 중심으로, 과거 사례들을 들어 한국 주식 시장의 왜곡된 투자 패턴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미국 시장이 미래에 정치적 요소와 공매도 규제에 의해 한국화될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투자자들이 신중한 판단과 장기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More…]
한국화 https://next-korea.com/?s=%ED%95%9C%EA%B5%AD%ED%99%94
테마주 https://next-korea.com/?s=%ED%85%8C%EB%A7%88%EC%A3%BC
*유튜브 출처: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