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튜브, 투명한 플랫폼? 숨겨진 진실
• 구글이 공개하지 않는 유튜브 사용자와 동영상 통계
- 구글은 TV에서 하루 10억 시간의 시청 시간을 공개하지만, 월간 사용자 수나 동영상 총 개수는 비밀로 유지해요.
- 추정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3명 중 1명이 매달 유튜브를 이용하며, 월평균 시청 시간은 약 29시간 정도로 계산돼요.
• 무작위 URL 생성 스크래핑 방법
- 연구팀은 ‘youtube.com/watch?v=’ 뒤에 붙는 11자리 고유 문자열을 무작위로 생성, 해당 동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스크래핑 도구를 개발했어요.
- 이 과정을 통해 실제 존재하는 동영상 수를 추정하는 데 사용했으며, 2024년 기준 유튜브 동영상은 1400억 개 이상으로 추산돼요.
──────────────────────────────
2. 동영상과 시청 통계의 놀라운 사실
• 전체 동영상 수와 시청 시간
- 평균 모바일 앱 사용자의 월간 시청 시간이 29시간이라면, 전체 유튜브 사용자 25억 명 곱해서 계산할 경우 인류가 830만 년 동안 시청한 셈이 돼요.
- 연간 시청 시간은 인류 역사의 전체 시간보다 수백 배나 긴 1억 년에 가까운 수치가 나오죠.
• 동영상 조회수와 길이
- 연구 결과, 유튜브 영상의 평균 조회수는 약 41회로 상당히 낮은 편이고, 전체 영상 중 4%는 조회수가 0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 분석 대상 동영상의 평균 길이는 64초이며, 전체의 1/3 이상은 33초 미만으로 매우 짧아요.
- 영상 중 38%는 편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40% 이상은 음악만 있는 콘텐츠로 구성돼 있어요.
• 콘텐츠 제작 및 수익 구조
- 전체 영상 중 수익 창출(스폰서십, 광고 등)이 붙은 영상은 겨우 0.21% 정도에 그치고, ‘좋아요 및 댓글’ 유도 메시지가 포함된 영상은 4% 미만으로 나타났어요.
- 전문가나 인플루언서가 만든 콘텐츠보다 일반 사용자가 올린 동영상이 훨씬 많다는 점이 눈에 띄어요.
──────────────────────────────
3. 유튜브 생태계와 언어, 콘텐츠 다양성
• 사용자와 언어 분포
- 유튜브 동영상 중 영어 콘텐츠가 가장 보편적이지만, 전체 영상의 30% 미만을 차지해요.
-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혼합된 유튜브는 전 세계의 소통과 정보 전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어요.
• 콘텐츠 소비 패턴
- 인플루언서 영상은 수억 명의 시청자를 모으지만, 전체 동영상의 다수가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는 ‘니치’ 콘텐츠라는 사실이 지적돼요.
- ‘일반 사용자’가 올리는 영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조회수, 댓글, 좋아요 같은 사용자 반응은 미미한 경향을 보이고 있어요.
──────────────────────────────
4. 유튜브, 단순 영상 플랫폼을 넘어서
• 공공 인프라로서의 역할
- 유튜브는 단순한 동영상 스트리밍을 넘어, 지방 자치 단체의 회의 중계, 인터넷 상의 중요한 기록 저장소 등 공공 인프라 역할을 하고 있어요.
- 사회 전반에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역할을 고려할 때, 투명성과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지속될 필요가 있어 보여요.
• 투명성 및 알고리즘 문제
- 구글은 플랫폼 운영에 관한 기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반면, 알고리즘 추천 등 내부 작동 방식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어요.
- 전문가들은 이런 불투명한 정보 공개가 사회 전반의 신뢰와 공공 책임성을 해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어요.
──────────────────────────────
마무리 정리
유튜브는 20년이라는 시간을 거치면서 글로벌 문화를 형성하고 인터넷 저장소 역할까지 수행해왔지만, 그 내부 통계와 알고리즘, 동영상 생태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은 여전히 구글의 ‘비밀’로 남아 있어요. 스크래핑 연구를 통해 밝혀진 수치와 사실들은 유튜브가 단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공공 인프라라는 점을 시사해요. 앞으로 더욱 투명한 정보 공개와 규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Source URL: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1wer4jzd49o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