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아카데미]
“미중 패권 전쟁의 아바타가 된 GPT와 딥시크! 그리고 딥시크 창업자의 야심ㅣ강정수 박사 [1부]“
딥시크의 기술적 성취와 AI 성장 모델
- 딥시크(DiTSeek)는 기존 AI 개발 방식에서 인간의 피드백을 제거하고 AI가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하는 모델을 구축했다.
- 강화 학습에서 휴먼 피드백(Human Feedback, HF)을 배제하는 것은 AI 자체가 자율적으로 지능을 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이 모델을 통해 AI 훈련에서 기존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해졌다.
- AI 스스로 데이터를 생성(합성 데이터 활용)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AI 오픈소스와 딥시크의 전략
- 오픈 AI(OpenAI)와 달리 딥시크는 연구 데이터를 완전히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 메타의 LLaMA나 알리바바의 코드 같은 기존 오픈소스 AI 모델보다 기술문서를 훨씬 상세히 공개했다.
- 다른 기업들과 연구기관이 쉽게 AI 모델을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 이로 인해 글로벌 AI 개발 경쟁에서 기술 민주화를 더욱 가속화했다.
AI 오픈소스 vs. 클로즈드 AI 기업의 충돌
-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개발 방식과 시장 구도에 변화가 생겼다.
- 오픈AI, 엔비디아(NVIDIA) 등 일부 기업 중심의 AI 기술 독점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 오픈소스 AI 진영과 폐쇄형(클로즈드) AI 진영 간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AI 시장의 확장과 중국의 반도체 전략
- 딥시크는 AI 학습뿐만 아니라 AI 실행(추론) 과정에서도 중국산 하웨이의 Ascend 910C 칩을 적용했다.
- 이는 기존 엔비디아 GPU에 의존하던 AI 시장에서 중국 반도체가 새로운 대안으로 등장했음을 시사한다.
- AI 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합리적인 비용의 하드웨어 대안이 등장하면서, 남미, 동남아, 아프리카 등 AI 인프라 부족 지역에서도 AI 적용이 가능해졌다.
- 결과적으로 AI 플랫폼과 반도체 기술 모듈에서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글로벌 AI 패권 경쟁과 지정학적 변화
- 미국 중심의 AI 생태계(오픈AI, 엔비디아, AWS, 구글 클라우드)와 딥시크·하웨이 중심의 AI 생태계가 분리될 가능성이 크다.
- 서방 국가들은 기존 클로즈드 AI 기술과 클라우드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려는 반면, 중국은 AI 기술을 오픈하고 칩 보급을 확대하려 한다.
- AI 및 반도체 시장에서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내 AI 시장과 기업들의 대응
- 네이버, 카카오 등 한국 기업들도 딥시크의 오픈소스 모델을 분석하고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 기존에는 AI 모델을 직접 개발해야 했지만, 딥시크의 오픈 기술을 활용하면 더욱 빠르게 AI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다.
- 특히 AI 검색, AI 챗봇, 버티컬 AI 서비스 등이 급속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 한국 스타트업들도 딥시크 모델을 기반으로 빠르게 새로운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결론: AI 오픈소스 시대의 도래
- AI 진화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더 이상 특정 기업의 독점 기술이 아니라 오픈소스 공유와 협업이 될 것이다.
- 클로즈드 AI 진영이 계속 맞설 것이지만, 오픈소스 AI의 파급력은 막기 어려운 흐름이다.
- AI 및 반도체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며, AI 대중화가 기존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 Summary >
- 딥시크는 AI가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였다.
- 기존 AI 모델과 달리 인간 피드백 없이 강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 완전히 오픈된 기술 문서를 공개하여 AI 연구자들과 기업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 글로벌 AI 시장에서 오픈소스와 클로즈드 AI 모델 간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 딥시크는 중국의 하웨이 반도체를 활용하여 AI 실행 비용을 낮추고 글로벌 AI 시장을 개방했다.
- AI와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 한국 및 글로벌 기업들은 AI 민주화 흐름 속에서 빠르게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 오픈소스 기반 AI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AI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이 변화하고 있다.
[More…]
- 딥시크 AI 혁신과 글로벌 AI 패권 경쟁
- AI 오픈소스와 클로즈드 AI, 미래의 승자는?
*유튜브 출처: [이효석아카데미]
- 미중 패권 전쟁의 아바타가 된 GPT와 딥시크! 그리고 딥시크 창업자의 야심ㅣ강정수 박사 [1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