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돈의 본질과 금융 시스템 – 돈은 빚이다
현대 자본주의에서 화폐의 본질은 단순한 교환 수단을 넘어, 경제의 모든 요소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인 ‘빚’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화폐의 역사를 살펴보면, 초기 사회에서는 물물교환이 주를 이루었지만, 이는 교환 상대방 간의 일치가 필요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화폐가 등장했고, 금과 은 같은 귀금속이 화폐로 사용되며 교환의 표준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대 경제에서는 대부분의 돈이 실물화폐가 아닌 신용을 통해 생성됩니다. 은행은 예금의 일부만을 준비금으로 남겨두고 나머지를 대출함으로써 신용 창조 과정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돈은 단순한 실물 형태가 아니라 빚으로서 존재하며, 이는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주요한 원동력이 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경제 위기를 초래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대출 증가로 인해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대규모 채무 불이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은행은 통화량과 금리를 조정함으로써 경제를 조절하려 노력합니다. 금리 인하는 대출과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반면,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만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기적으로 경제를 안정시키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사례는 신용 창조 과정과 부채 경제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현대의 화폐 시스템은 강력하지만 불안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폐의 본질이 빚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은 개인과 사회가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명하게 활용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1. 돈과 대출의 기초적인 흐름 이해하기
은행은 대출을 통해 돈을 불리며, 지급준비율에 따라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이 10억 원을 대출하면, 지급준비금으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또 다른 대출로 사용합니다. 이런 대출이 반복되며 ‘신용 창조’ 과정을 통해 돈이 계속 늘어나게 되는 겁니다.
핵심 요점:
-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더 많은 돈을 대출할 수 있습니다.
- 대출마다 새로운 돈이 생겨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는 ‘빚’으로 생성된 자본입니다.
신용창조 과정
2. 돈의 양과 물가의 관계
돈이 많아지면 시장에 circulating money가 늘어납니다. 돈이 많을수록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물가는 상승합니다. 이를 ‘통화 팽창(인플레이션)’이라고 하고, 심한 경우는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금리. 금리인하?
사례:
- 짐바브웨: 화폐를 과도하게 발행해 물가 상승률이 연간 2억 3천만 %에 도달한 적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에서 시작된 5천원이 한달만에 시중에 6만원으로 증가 하게됨 > 인플레이션의 기본 원인
3. 경제순환의 파동 이론
경제는 주기적으로 인플레이션(호황)과 디플레이션(불황)을 반복합니다. 인플레이션 때는 돈이 넘쳐나 구매력이 상승하지만, 디플레이션 때는 돈이 부족해지며 대량 파산과 실업 사태를 초래합니다.
실제 사례:
- 2008년 금융 위기는 대출 고삐가 느슨해지며 시작됐습니다.
-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과잉 대출이 문제가 되었죠.
섬에 3명만 있다고하고 은행 돈을 빌려서 시작하면 서로 월급주고 빌려주면서 통화라는 “숫자”가 증가함
4. 왜 빚이 끊이지 않을까?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는 모두 빚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면 그 돈에도 이자가 붙어갚아야 할 “추가 빚”이 따라서 생기죠. 결국 경제 시스템 안에는 항상 “갚을 수 없는 빚“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핵심 교훈:
- 빚의 순환, 즉 ‘빚 보존의 법칙’ 때문에 시스템 자체가 지속적으로 새로운 빚을 발생시키는 겁니다.
- 이런 시스템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빚으로 인해 불평등과 경제적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시중 통화량이 적으면 절대 세 사람은 모든 돈을 갚을 수 없으므로 돈은 계속 찍어내어야 하는 지금현재
5. 우리의 역할과 개선점
우리의 경제 시스템은 생성되고 순환되는 자본과 빚에 의해 움직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사람들이 이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현재 우리가 처한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이해하고 보다 공정한 구조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장기 순환 주기(48년~60년)
(2부로 계속..)
Leave a Reply